말로 표현하기 힘들지만 아래 어느 분이 크로스 오버 말씀하셔서 하나 올립니다.
선수 출신 하키어들은 크로스 오버 할 때 넓게 발을 넓게 디디는 것을 자주 얘기한다. 그리고 어깨를 틀라고도 한다. 아니면 스틱을 안쪽으로 놓고 하라고 한다. 하지만 정작 이론적인 접근은 없다.
크로스오버의 중점적인 포인트는 어깨와 힙의 상관관계이다. 먼저 우리가 아는 페이스 오프 원을 기준으로 스케이팅을 한다고 가정을 하자. 일단 아무리 초보라도 어깨를 회전하면 몸이 돌거나 방향이 회전이 된다는 것은 알게 되어 있다. 그리고 힘이 없다면 일단 양쪽 발에 안쪽 에지를 쓰게 되므로 회전이 잘 안된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어떤 훈련을 해야 할까?
일단 제자리에서 양날을 사용하는 느낌을 얻어야 한다. 가령 왼쪽 날이 아웃사이드 에지면 오른쪽 발은 인사이드 에지 오른쪽이 아웃사이드 에지면 왼쪽이 인사이드 에지. 이 편차가 심하지 않아도 두 날이 있다는 것을 느낄 정도만 되면 된다. 이를 느낀다면 그 다음 단계는 원을 따라 타면서 이 에지를 유지 하는것이고 아주 미약한 정도지만 유지가 된다면 이제는 한쪽으로만 미는 연습을 한다. 가령 왼쪽으로 돈자면 왼쪽발은 아웃사이드 에지를 약간 유지 하면서 오른쪽 발을 사용해서 미는 연습을 한다. 원을 완만하게 그리면서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드 다음으로는 어깨를 약간 회전 시킨다. 회전을 시키면서 생각해 봐야 할 부분은 왼쪽으로 갈 경우 오른쪽 어깨를 왼쪽으로 약간 회전 시키면서 왼쪽 힙이 오른쪽 어깨를 X자로 만나도록 바쳐 줘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속도가 나면 날수록 회전이 더 되면서 힙이 더 바쳐 줘야 하며 그 바치는 힘이 커 질수록 스피드를 더 낼 수 있다.
발을 옮겨서 크로스를 하는 동작은 일단 따로 연습한다. 이 크로스 동작 역시 인사이드와 아웃사이드 에지를 느끼는 연습이면 반복을 하여 단순히 동작에 익숙해 지기 위함이다. 일단 익숙해지면 그담에는 한쪽발로 미는 동작을 하면서 연달아서 하려 하지 말고 하나씩 서서히 해보다가 어느정도 된다면 그 다음 부터는 연달아서 해보면 된다. 이 때도 어깨와 반대쪽 힙이 만나는 상관관계를 생각하면서 해야 하며 어깨 회전이 더 되면 될수록 힙이 더 강하게 바쳐 줘야만 힘을 이겨낼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오버를 할 때 바깥쪽 발을 뒤로 밀지 말고 옆으로 밀면서 토 킥을 하는것과 동시에 무릎을 들어 확실하게 발을 안쪽으로 옮기는 연습을 해야 하며 옮겨서 발을 착지 하면서 안쪽에 있는 발로 한번더 미는 동작이 필요하다. 많은 아마츄어 하키어들은 바깥쪽만 밀고 안쪽에서 미는 소위 2번 미는 크로스 오버를 하는 경우가 드물다. 안쪽발로 한번더 밀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다른 사람들이 한번 밀 때 두번을 밀게 되므로 스피드 내기가 훨씬 더 수월해진다. 선수들의 경우도 두번 미는 경우가 반 정도 아닌 경우가 반정도로 보여진다. 가급적이면 3~5번 미는 동작으로 스피드를 최대한 낼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을 스틱없이 여러차례 반복하다가 스틱을 쥐어 주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어깨 회전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일단 한손으로 스틱을 쥐고 하다가 두손으로 옮겨가고 여기다가 퍽까지 주면 회전 자체가 불안정하다. 이는 스틱의 위치로 어느정도 극복 할 수 있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크로스 자세는 가급적 유지 하도록 해야 하며 이 크로스 자세 역시 턴 등 트렌지션에 필요한 체중 이동에 쓰일 수 있는 자세다. 마지막으로 원은 원심력에 의해 자꾸 밖으로 쏠리는 것 처럼 느껴진다. 이를 극복하려면 체중을 원의 안쪽을 향한체 유지를 해야 하는데 이 유지 하는 자세야 말로 고 난이도의 스케이팅이 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연습 때 러시안 서클이라는 드릴을 많이 한다. 하지만 더 강한 크로스 오버를 하려면 링크장 전체를 빨간 라인을 기준으로 숫자 8을 그리는 연습을 한다면 더 큰 원을 그리면서 스피드를 내야 하기 때문에 힘들어 지기도 하지만 기량이 더 늘수 있다. 하지만 팀 운동인 관계로 스케이팅이 안되는 동료도 배려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힘들수 있다.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선수 출신 하키어들은 크로스 오버 할 때 넓게 발을 넓게 디디는 것을 자주 얘기한다. 그리고 어깨를 틀라고도 한다. 아니면 스틱을 안쪽으로 놓고 하라고 한다. 하지만 정작 이론적인 접근은 없다.
크로스오버의 중점적인 포인트는 어깨와 힙의 상관관계이다. 먼저 우리가 아는 페이스 오프 원을 기준으로 스케이팅을 한다고 가정을 하자. 일단 아무리 초보라도 어깨를 회전하면 몸이 돌거나 방향이 회전이 된다는 것은 알게 되어 있다. 그리고 힘이 없다면 일단 양쪽 발에 안쪽 에지를 쓰게 되므로 회전이 잘 안된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어떤 훈련을 해야 할까?
일단 제자리에서 양날을 사용하는 느낌을 얻어야 한다. 가령 왼쪽 날이 아웃사이드 에지면 오른쪽 발은 인사이드 에지 오른쪽이 아웃사이드 에지면 왼쪽이 인사이드 에지. 이 편차가 심하지 않아도 두 날이 있다는 것을 느낄 정도만 되면 된다. 이를 느낀다면 그 다음 단계는 원을 따라 타면서 이 에지를 유지 하는것이고 아주 미약한 정도지만 유지가 된다면 이제는 한쪽으로만 미는 연습을 한다. 가령 왼쪽으로 돈자면 왼쪽발은 아웃사이드 에지를 약간 유지 하면서 오른쪽 발을 사용해서 미는 연습을 한다. 원을 완만하게 그리면서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드 다음으로는 어깨를 약간 회전 시킨다. 회전을 시키면서 생각해 봐야 할 부분은 왼쪽으로 갈 경우 오른쪽 어깨를 왼쪽으로 약간 회전 시키면서 왼쪽 힙이 오른쪽 어깨를 X자로 만나도록 바쳐 줘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속도가 나면 날수록 회전이 더 되면서 힙이 더 바쳐 줘야 하며 그 바치는 힘이 커 질수록 스피드를 더 낼 수 있다.
발을 옮겨서 크로스를 하는 동작은 일단 따로 연습한다. 이 크로스 동작 역시 인사이드와 아웃사이드 에지를 느끼는 연습이면 반복을 하여 단순히 동작에 익숙해 지기 위함이다. 일단 익숙해지면 그담에는 한쪽발로 미는 동작을 하면서 연달아서 하려 하지 말고 하나씩 서서히 해보다가 어느정도 된다면 그 다음 부터는 연달아서 해보면 된다. 이 때도 어깨와 반대쪽 힙이 만나는 상관관계를 생각하면서 해야 하며 어깨 회전이 더 되면 될수록 힙이 더 강하게 바쳐 줘야만 힘을 이겨낼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오버를 할 때 바깥쪽 발을 뒤로 밀지 말고 옆으로 밀면서 토 킥을 하는것과 동시에 무릎을 들어 확실하게 발을 안쪽으로 옮기는 연습을 해야 하며 옮겨서 발을 착지 하면서 안쪽에 있는 발로 한번더 미는 동작이 필요하다. 많은 아마츄어 하키어들은 바깥쪽만 밀고 안쪽에서 미는 소위 2번 미는 크로스 오버를 하는 경우가 드물다. 안쪽발로 한번더 밀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다른 사람들이 한번 밀 때 두번을 밀게 되므로 스피드 내기가 훨씬 더 수월해진다. 선수들의 경우도 두번 미는 경우가 반 정도 아닌 경우가 반정도로 보여진다. 가급적이면 3~5번 미는 동작으로 스피드를 최대한 낼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을 스틱없이 여러차례 반복하다가 스틱을 쥐어 주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어깨 회전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일단 한손으로 스틱을 쥐고 하다가 두손으로 옮겨가고 여기다가 퍽까지 주면 회전 자체가 불안정하다. 이는 스틱의 위치로 어느정도 극복 할 수 있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크로스 자세는 가급적 유지 하도록 해야 하며 이 크로스 자세 역시 턴 등 트렌지션에 필요한 체중 이동에 쓰일 수 있는 자세다. 마지막으로 원은 원심력에 의해 자꾸 밖으로 쏠리는 것 처럼 느껴진다. 이를 극복하려면 체중을 원의 안쪽을 향한체 유지를 해야 하는데 이 유지 하는 자세야 말로 고 난이도의 스케이팅이 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연습 때 러시안 서클이라는 드릴을 많이 한다. 하지만 더 강한 크로스 오버를 하려면 링크장 전체를 빨간 라인을 기준으로 숫자 8을 그리는 연습을 한다면 더 큰 원을 그리면서 스피드를 내야 하기 때문에 힘들어 지기도 하지만 기량이 더 늘수 있다. 하지만 팀 운동인 관계로 스케이팅이 안되는 동료도 배려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힘들수 있다.
간단하게 정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