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랫글들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언젠가는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분들의 하키팀은 운영주체가 누구이며 어떤식으로 운영되나요?
팀에서 활동하다 보면 그런 궁금증을 갖게 될 때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아마도 운영 주체는 코치나 감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친분이 있어야 대관도 나오고 그 친분은 운동으로 맺어진 끈끈한 인연 때문이기도 하지요. 선착순도 기여도도 아닌 친분이 참 무서울 때가 많습니다. 어떤 때는 그냥 동호회처럼 모여서 운동을 하다가 코치를 영입하고 코치가 감독이 되면서 링크장에서 후배나 동기를 밀어준다고 대관을 주는 형식이 대부분이라고 사료됩니다.
어찌 됐던, 많은 경우에는 감독이나 코치가 하키 팀 운영이 본인의 유일한 생계이므로 회비를 좌지우지 하기도 하고 뭐 빙판의 여러 권모술수로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을 쫒아내기도 하고 또는 주변의 도움으로 좀 조용하게 하기도 합니다.
제가 처음 몸 담았던 팀에서도 회비를 잘내는 회원도 있었지만 잘 못내기도 하고 상습적으로 여유가 되도 안내는 회원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팀의 재정에 한계가 있고 이를 모면하기 위해서 회비를 올리려 한적도 있었지만 제가 의문을 공개적으로 재기해서 올리지 못하고 눈의 가시같은 존재가 되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게다가 주 1회 대관을 한번더 추가 할 수 있도록 기여를 했고 나중에는 초보자들도 가르치는 플레이어 코치도 했었고 미국으로 떠날 당시 감사패라며 퍽 모양의 상도 주고 하더니 갑자기 제명을 시키더군요. 팀원들을 위한 발언을 하니 입에 담고 있기에는 쓰고 뱉자니 다른팀으로 갈까 전전긍긍 하고.... 뭐 그런 연유였던것 같습니다.
팀 운영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대관비, 그리고 미리 합의된 코치비 그외 약간의 여유분의 재정..... 이것을 책정한 후에 1/n로 나누면 되는것이죠. 대관비는 어차피 공개된 액수이고 문제는 지도비용인데 그 합의된 비용이 간혹 문제가 될 수 있을 때도 있습니다. 지도자가 잘해서 승리를 많이 하면 승리 수당을 조금 더 챙겨누는 것도 방법일 것이고 또 고마움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도 방법이겠죠. 소문은 무성하지만 어떤 감독이나 단장들은 정말 대기업 부장급으로 돈을 번다는 얘기도 있는것을 보면... 어쨌든,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하키팀 운영 회비는 어느정도가 적정선일까요?
링크장 입장에서 본다면 미국처럼 자체 리그를 운영하면서 주 3회 정도 코치를 아예 영입해서 하키 클리닉을 열고 하키의 저변확대를 하는것이 더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식이냐구요? 1주일에 3일정도는 성인 리그가 열리고 팀 당 $6000불을 한 12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그리고 한 8팀~12팀 정도 받죠. 그리고는 약 12~15주간의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합니다. $6000불을 메꾸는 것은 팀 책임이죠. 그리고 클리닉을 8주 정도 주말 아침에 주 2회씩하는데 16번에 회당 $20 정도 책정을 합니다. 아마 대관비보다는 낳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쨌든, 궁금합니다. 운영방식도 그렇고 주체도 그렇고. 그리고 어떤식으로 가야 아마츄어 동호인들이 더 재미있게 하키를 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궁금하네요.
여러분들의 하키팀은 운영주체가 누구이며 어떤식으로 운영되나요?
팀에서 활동하다 보면 그런 궁금증을 갖게 될 때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아마도 운영 주체는 코치나 감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친분이 있어야 대관도 나오고 그 친분은 운동으로 맺어진 끈끈한 인연 때문이기도 하지요. 선착순도 기여도도 아닌 친분이 참 무서울 때가 많습니다. 어떤 때는 그냥 동호회처럼 모여서 운동을 하다가 코치를 영입하고 코치가 감독이 되면서 링크장에서 후배나 동기를 밀어준다고 대관을 주는 형식이 대부분이라고 사료됩니다.
어찌 됐던, 많은 경우에는 감독이나 코치가 하키 팀 운영이 본인의 유일한 생계이므로 회비를 좌지우지 하기도 하고 뭐 빙판의 여러 권모술수로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을 쫒아내기도 하고 또는 주변의 도움으로 좀 조용하게 하기도 합니다.
제가 처음 몸 담았던 팀에서도 회비를 잘내는 회원도 있었지만 잘 못내기도 하고 상습적으로 여유가 되도 안내는 회원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팀의 재정에 한계가 있고 이를 모면하기 위해서 회비를 올리려 한적도 있었지만 제가 의문을 공개적으로 재기해서 올리지 못하고 눈의 가시같은 존재가 되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게다가 주 1회 대관을 한번더 추가 할 수 있도록 기여를 했고 나중에는 초보자들도 가르치는 플레이어 코치도 했었고 미국으로 떠날 당시 감사패라며 퍽 모양의 상도 주고 하더니 갑자기 제명을 시키더군요. 팀원들을 위한 발언을 하니 입에 담고 있기에는 쓰고 뱉자니 다른팀으로 갈까 전전긍긍 하고.... 뭐 그런 연유였던것 같습니다.
팀 운영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대관비, 그리고 미리 합의된 코치비 그외 약간의 여유분의 재정..... 이것을 책정한 후에 1/n로 나누면 되는것이죠. 대관비는 어차피 공개된 액수이고 문제는 지도비용인데 그 합의된 비용이 간혹 문제가 될 수 있을 때도 있습니다. 지도자가 잘해서 승리를 많이 하면 승리 수당을 조금 더 챙겨누는 것도 방법일 것이고 또 고마움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도 방법이겠죠. 소문은 무성하지만 어떤 감독이나 단장들은 정말 대기업 부장급으로 돈을 번다는 얘기도 있는것을 보면... 어쨌든,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하키팀 운영 회비는 어느정도가 적정선일까요?
링크장 입장에서 본다면 미국처럼 자체 리그를 운영하면서 주 3회 정도 코치를 아예 영입해서 하키 클리닉을 열고 하키의 저변확대를 하는것이 더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식이냐구요? 1주일에 3일정도는 성인 리그가 열리고 팀 당 $6000불을 한 12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그리고 한 8팀~12팀 정도 받죠. 그리고는 약 12~15주간의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합니다. $6000불을 메꾸는 것은 팀 책임이죠. 그리고 클리닉을 8주 정도 주말 아침에 주 2회씩하는데 16번에 회당 $20 정도 책정을 합니다. 아마 대관비보다는 낳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쨌든, 궁금합니다. 운영방식도 그렇고 주체도 그렇고. 그리고 어떤식으로 가야 아마츄어 동호인들이 더 재미있게 하키를 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