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아래글의 답변으로 적었던 글인데 쓰고 보니 너무 길고 버리자니 아까워서 여기에다 다시 토론에 부칩니다.
아래 하키맨님과 hockeyusa님 두분의 표현에 있어 충분히 자극적인 부분이 많지만 불필요한 내용들을 제거하고 읽어 보면 내용은 충분히 구분이 가능할 정도로 다른 의견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제가 제대로 읽었다면 요지는 현재 한국의 하키수준과 국가대표팀의 수행능력의 평가가 극명하게 갈린다는 것인데 한쪽은 현재의 국가대표를 응원함과 동시에 올림픽 참가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는 쪽과 현재의 국가대표의 구성과 능력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쪽으로 나뉘는 걸로 보입니다.
근데 저는 이분들과 약간 의견이 다릅니다. 가능하지만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사실은 모두가 같은말인데 다르게 표현하는거 겠지요...
일단 낙관적으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의 의견중에 동의하기가 어려운 것은 우리가 스케이트가 조금 더 빨라지고 팀 워크를 더 좋게 해서 성적을 올리자는 건데 단기전에서 비슷한 실력의 상대에게는 가능한 이론이지만 실제 하키의 레벨을 올리는 것 하고는 전혀 다른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수 층이 두껍지 않아 별로 구분하지 않지만 유럽이나 북미에 가면 모든 연령대나 프로하키에서 조차 레벨이라는 것이 존재를 하고 프로에서 조차 Major, minor AAA, AA, A이런 식으로 레벨을 나눕니다. 근데 이 레벨이란 게 단순히 열심히 하고 노력한다고 올라가 지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지금 솔직히 인정해야 하는 건 18위권의 나라들과는 기본적으로 레벨이 다르다는 겁니다. 그것도 적어도 두 단계 정도는 뒤 쳐진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경기 수행능력을 말씀 드리는 겁니다.
그러면 가능성이 없느냐? 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단체 경기능력은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뛰어 납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축구를 벤치 마킹해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개인기는 남미, 유럽, 아프리카에 비해 많이 뒤떨어 지지만 스피드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고 그리고 2002년 이후로는 그들과 항상 근접한 경기를 했습니다.. 여전히 K리그는 유럽이나 남미의 리그에 비해 수준이 많이 떨어지지만 국가 대표 경기는 여전히 대등한 경기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히딩크는 우리나라에 처음와서 개인기를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반대로 양발을 자유자재로 구사 할 줄아는 선수들이 많으므로 개인기로서는 장점이 더 많다고 했습니다.. 그 다음 트레이너를 데려다가 셔틀런, 왕복달리기만 줄창 시켰습니다.. 그리고 전술을 가르치고 패턴플레이를 연습시켰습니다. 그다음에 는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팀을 합리적으로 소통시키는데 주력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위의 히딩크의 훈련에서 어떤점이 가장 선진국적으로 보입니까?..
훈련방법, 전술,,,, 이런 것보다는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 그 자체가 선진국적이었던 것 입니다.. 현실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합리적으로 접근 했던 거죠.. 그리고 그걸 할 수 있도록 축구협회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거죠..
저는 지금 우리 하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빨리 우리의 수준을 파악해야 한다는 거죠..
히딩크가 '오대영'이라는 별명과 비난을 감수하면서 강팀들과 경기를 함으로서 무엇이 부족하고 고칠 점인지를 깨우친 것 처럼 어서 우리도 미국 마이너 프로팀이나 유럽의 높은 랭킹의 국가들과 친선전을 통해서 깨지더라도 우리의 수준과 고칠 점을 배워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유형의 코치, 선수가 부족한지를 알아내서 그 해당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코치와 선수를 키워내던, 사오던 지 해야겠지요..
저는 직접 하키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 경험하면서 다분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하키는 한국인한테 아주 적합한 운동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일단 스케이트라는 도구를 사용 함으로서 신체적인 열세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뛰어난 순발력과 지구력, 영리함으로 아주 높은 레벨의, 그리고 우리만의 독특한 경쟁력있는 하키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북미하키에서는 첵킹이 무지 막지 하지만, 막상 세계선수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위협적인 체킹을 많이 하지 않습니다. 차라리 더 무서운건 체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백첵, 포어첵하는 것이 더 무섭습니다. 근데 백첵, 포어첵은 빠른 한국선수들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겁니다.
최근 한국에서 보여준 성우제 선수의 모습에서 이런 가능성을 충분히 우리는 발견할 수 있다고 봅니다.
최근 한국 축구를 보면 홍명보, 최강희, 허정무등의 좋은 국대 감독들이 많이 나타나면서 이들의 코칭 스타일이 예전하고 많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히딩크나 아드보카트등의 외국 감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에게도 김ㅁㅁ감독같이 훌륭한 감독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한국의 하키 수준을 끌러 올려 줄 수 있는 코치들을 빨리 데려와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 국가대표의 경기 경험을 빨리 높여 줘야 합니다. 힘들지만 오프시즌에는 북미 유럽으로 데리고 다니면서 친선전이나 토너먼트에 참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학과 실업팀에 더 많은 문호를 열어서 외국에서 운동하고 있는 한국계 선수들을 최대한 빨리 데려와서 같이 경기 하도록 해야 합니다..
재창단한 광운대팀에 외국에서 온 선수가 있다고 경기 보이코트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코메디는 더이상 하키판에서는 없어 져야 합니다..
그래서 하키 협회가 중요한 겁니다..
2002년 월드컵때의 축구협회만큼 충분히 지원할 마음은 있는건가요? 준비는 하고 있나요?
가장 중요한 재원은 준비가 되어 있나요?
너무 협회에는 묻고 싶은게 많은데, 특히 요새 너무 조용합니다... 왠 일 일까요...
제가 처음 이글을 논제로 올린 이유는 우리 하키가 발전 하려면 뭘 해야 할것인지를 논하고자 함이었습니다..
하키 전공자가 아닌 저로서는 의견을 논하는데 전문성의 한계가 뚜렸하여 필요없이 말만 길어 지는듯 합니다.
이제 다른분들이 대안을 더 많이 제안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아래 하키맨님과 hockeyusa님 두분의 표현에 있어 충분히 자극적인 부분이 많지만 불필요한 내용들을 제거하고 읽어 보면 내용은 충분히 구분이 가능할 정도로 다른 의견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제가 제대로 읽었다면 요지는 현재 한국의 하키수준과 국가대표팀의 수행능력의 평가가 극명하게 갈린다는 것인데 한쪽은 현재의 국가대표를 응원함과 동시에 올림픽 참가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는 쪽과 현재의 국가대표의 구성과 능력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쪽으로 나뉘는 걸로 보입니다.
근데 저는 이분들과 약간 의견이 다릅니다. 가능하지만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사실은 모두가 같은말인데 다르게 표현하는거 겠지요...
일단 낙관적으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의 의견중에 동의하기가 어려운 것은 우리가 스케이트가 조금 더 빨라지고 팀 워크를 더 좋게 해서 성적을 올리자는 건데 단기전에서 비슷한 실력의 상대에게는 가능한 이론이지만 실제 하키의 레벨을 올리는 것 하고는 전혀 다른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수 층이 두껍지 않아 별로 구분하지 않지만 유럽이나 북미에 가면 모든 연령대나 프로하키에서 조차 레벨이라는 것이 존재를 하고 프로에서 조차 Major, minor AAA, AA, A이런 식으로 레벨을 나눕니다. 근데 이 레벨이란 게 단순히 열심히 하고 노력한다고 올라가 지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지금 솔직히 인정해야 하는 건 18위권의 나라들과는 기본적으로 레벨이 다르다는 겁니다. 그것도 적어도 두 단계 정도는 뒤 쳐진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경기 수행능력을 말씀 드리는 겁니다.
그러면 가능성이 없느냐? 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단체 경기능력은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뛰어 납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축구를 벤치 마킹해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개인기는 남미, 유럽, 아프리카에 비해 많이 뒤떨어 지지만 스피드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고 그리고 2002년 이후로는 그들과 항상 근접한 경기를 했습니다.. 여전히 K리그는 유럽이나 남미의 리그에 비해 수준이 많이 떨어지지만 국가 대표 경기는 여전히 대등한 경기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히딩크는 우리나라에 처음와서 개인기를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반대로 양발을 자유자재로 구사 할 줄아는 선수들이 많으므로 개인기로서는 장점이 더 많다고 했습니다.. 그 다음 트레이너를 데려다가 셔틀런, 왕복달리기만 줄창 시켰습니다.. 그리고 전술을 가르치고 패턴플레이를 연습시켰습니다. 그다음에 는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팀을 합리적으로 소통시키는데 주력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위의 히딩크의 훈련에서 어떤점이 가장 선진국적으로 보입니까?..
훈련방법, 전술,,,, 이런 것보다는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 그 자체가 선진국적이었던 것 입니다.. 현실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합리적으로 접근 했던 거죠.. 그리고 그걸 할 수 있도록 축구협회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거죠..
저는 지금 우리 하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빨리 우리의 수준을 파악해야 한다는 거죠..
히딩크가 '오대영'이라는 별명과 비난을 감수하면서 강팀들과 경기를 함으로서 무엇이 부족하고 고칠 점인지를 깨우친 것 처럼 어서 우리도 미국 마이너 프로팀이나 유럽의 높은 랭킹의 국가들과 친선전을 통해서 깨지더라도 우리의 수준과 고칠 점을 배워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유형의 코치, 선수가 부족한지를 알아내서 그 해당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코치와 선수를 키워내던, 사오던 지 해야겠지요..
저는 직접 하키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 경험하면서 다분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하키는 한국인한테 아주 적합한 운동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일단 스케이트라는 도구를 사용 함으로서 신체적인 열세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뛰어난 순발력과 지구력, 영리함으로 아주 높은 레벨의, 그리고 우리만의 독특한 경쟁력있는 하키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북미하키에서는 첵킹이 무지 막지 하지만, 막상 세계선수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위협적인 체킹을 많이 하지 않습니다. 차라리 더 무서운건 체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백첵, 포어첵하는 것이 더 무섭습니다. 근데 백첵, 포어첵은 빠른 한국선수들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겁니다.
최근 한국에서 보여준 성우제 선수의 모습에서 이런 가능성을 충분히 우리는 발견할 수 있다고 봅니다.
최근 한국 축구를 보면 홍명보, 최강희, 허정무등의 좋은 국대 감독들이 많이 나타나면서 이들의 코칭 스타일이 예전하고 많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히딩크나 아드보카트등의 외국 감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에게도 김ㅁㅁ감독같이 훌륭한 감독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한국의 하키 수준을 끌러 올려 줄 수 있는 코치들을 빨리 데려와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 국가대표의 경기 경험을 빨리 높여 줘야 합니다. 힘들지만 오프시즌에는 북미 유럽으로 데리고 다니면서 친선전이나 토너먼트에 참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학과 실업팀에 더 많은 문호를 열어서 외국에서 운동하고 있는 한국계 선수들을 최대한 빨리 데려와서 같이 경기 하도록 해야 합니다..
재창단한 광운대팀에 외국에서 온 선수가 있다고 경기 보이코트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코메디는 더이상 하키판에서는 없어 져야 합니다..
그래서 하키 협회가 중요한 겁니다..
2002년 월드컵때의 축구협회만큼 충분히 지원할 마음은 있는건가요? 준비는 하고 있나요?
가장 중요한 재원은 준비가 되어 있나요?
너무 협회에는 묻고 싶은게 많은데, 특히 요새 너무 조용합니다... 왠 일 일까요...
제가 처음 이글을 논제로 올린 이유는 우리 하키가 발전 하려면 뭘 해야 할것인지를 논하고자 함이었습니다..
하키 전공자가 아닌 저로서는 의견을 논하는데 전문성의 한계가 뚜렸하여 필요없이 말만 길어 지는듯 합니다.
이제 다른분들이 대안을 더 많이 제안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